오쿠이 마사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이 마사미는 일본의 애니송 가수로, 1993년 싱글 "누구보다도 쭉…"으로 데뷔했다. 1989년부터 사이토 유키, 하라다 토모요 등의 백 코러스를 담당했으며, 1990년부터 4년간 마츠토야 유미의 코러스를 맡았다. 2001년에는 셀프 프로듀스를 시작하여 음악 프로듀서로도 활동했으며, 2003년에는 JAM Project에 가입했다. 2004년 자체 레이블 evolution을 설립했고, 2005년부터 Animelo Summer Live의 메인 아티스트로 활약했다. 2019년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에서 작사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데뷔 30주년 기념 라이브를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타미시 출신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 이타미시 출신 - 아리무라 카스미
아리무라 카스미는 2009년 데뷔하여 드라마 《아마짱》과 영화 《불량소녀, 너를 응원해!》등 다수의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하는 일본의 효고현 이타미시 출신 배우이다. - 오사카 예술대학 동문 - 하시모토 사토시
하시모토 사토시는 1989년 극단 ☆신감선에서 데뷔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다 1997년 퇴단 후 드라마, 영화, 뮤지컬 배우 및 성우로 활동하며, 특히 뮤지컬 "미스 사이공", "레 미제라블" 등에서 주역을 맡아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고 2023년 9월 소속사를 퇴사 후 개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오사카 예술대학 동문 - 가네모토 고지
가네모토 고지는 1990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여 3대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했고,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등을 지냈으며 '주니어 싸움짱'이라는 별명을 얻은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프리랜서 및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모리야마 료코
모리야마 료코는 1967년 데뷔하여 가수, 배우, 성우, 작사가, 작곡가, 라디오 퍼스널리티로 활동하며, 「금지된 사랑」으로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고, NHK 홍백가합전에 10회 출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일본 레코드 대상, 예술선장 등을 수상했다. - 일본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야노 아키코
야노 아키코는 1955년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로, 1976년 데뷔 후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지브리 스튜디오 등과 협업하고 사카모토 류이치 등 유명 뮤지션과 협연하며 일본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쿠이 마사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쿠이 마사미 (奥井雅美) |
출생 | 1968년 3월 13일 |
출생지 | 일본, 효고 현, 이타미 시 |
별칭 | 맛쿤 |
혈액형 | A형 |
학력 | 오사카 예술대학 중퇴 |
직업 | 싱어송라이터 작사가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
장르 | J-POP 애니메이션 음악 록 게임 음악 |
악기 | 보컬 드럼 타악기 기타 |
활동 기간 | 1980년대 - 현재 (애니메이션 송 가수로서는 1993년~) |
활동 정보 | |
레이블 | 스타차일드 킹레코드 evolution 란티스 FIREWORKS |
소속사 | MEGAMI Project FIREWORKS |
관련 활동 | JAM Project r.o.r/s |
공동 작업자 | 야부키 토시로 JAM Project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오쿠이 마사미 공식 웹사이트 |
2. 약력
1989년 사이토 유키의 콘서트 백업 싱어를 시작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59], 1990년부터는 마츠토야 유미의 투어 코러스를 4년간 담당했다. 1993년 싱글 〈누구보다 훨씬…〉 誰よりもずっと…일본어로 킹 레코드(스타 차일드 레이블)에서 솔로 가수로 데뷔[50]했으며, 이 곡은 OAV ''환상소녀''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이후 주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부르며[50] 애니송 가수로 이름을 알렸고, 1995년에는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함께 TV 애니메이션 ''슬레이어즈''의 주제가를 불렀다.
2001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셀프 프로듀싱을 시작했으며[60], 2003년에는 슈퍼그룹 JAM Project에 합류하고[50] 동료 아티스트 요네쿠라 치히로와 유닛 r.o.r/s를 결성하는 등[50] 솔로 외 활동도 활발히 전개했다. 2004년에는 킹 레코드에서 독립하여 자체 레이블 'evolution'을 설립했다.[61]
2005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Animelo Summer Live 콘서트에 주요 아티스트로 꾸준히 참여하고 있으며[59], 2008년과 2012년에는 JAM Project 멤버로서 멕시코 'Expo TNT' 무대에 서기도 했다. 2011년에는 레이블 'evolution' 운영을 종료하고 란티스와 계약을 맺었다.
2019년 3월 1일,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에서 그녀가 작사한 곡 〈윤무-revolution〉이 작사상(1989년-1999년 부문)을 수상했다.[64] 2023년 3월 12일에는 데뷔 30주년을 기념하는 라이브 콘서트를 개최했으며, 같은 날 킹 레코드 시절 발표했던 초기 앨범들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공개했다.[65]
2. 1. 데뷔 이전
1989년부터 사이토 유키, 하라다 토모요, Wink 등의 백 코러스를 담당했다.[59] 1990년부터는 마츠토야 유미의 투어에서 4년간 코러스 및 백 댄서를 맡았으며, 이 시기에 타카하시 요코 등과 함께 일하기도 했다.2. 2. 데뷔 및 초기 활동 (1993년 ~ 2000년)
1989년 사이토 유키를 시작으로, 하라다 토모요, Wink 등의 백 코러스를 담당했다.[59]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마쓰토야 유미의 투어 콘서트에서 코러스 및 백 댄서를 맡았다.[59](타카하시 요코 등과 함께 활동했다.)1993년 8월, 싱글 〈누구보다 훨씬…〉 誰よりもずっと…일본어로 킹 레코드(스타 차일드 레이블)에서 솔로 가수로 데뷔했다.[50] 이 곡은 OAV ''환상소녀''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이후 주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많이 부르면서[50] 애니송 가수로 인지도를 높였다. 1995년에는 성우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함께 TV 애니메이션 ''슬레이어즈''의 주제가를 불렀다. 다른 한편으로는 악곡 제공, 잡지 에세이 연재, 라디오 퍼스널리티 등 활동 영역을 넓혀나갔다.
데뷔 후 약 8년간은 프로듀서 야부키 토시로의 프로듀스를 받았다. 2000년에는 TOTO의 기타리스트 스티브 루카서나 미스터 빅의 베이시스트 빌리 시헌 등 해외 유명 뮤지션들과 협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시점부터 담당 프로듀서였던 야부키 토시로와 음악성에 관한 차이를 느끼기 시작했다.[60]
2. 3. 셀프 프로듀싱 및 음악적 변화 (2001년 ~ 현재)
2000년에는 TOTO의 스티브 루카서나 미스터 빅의 빌리 시헌과 같은 해외 아티스트와 협력하기도 했으나, 이 시기부터 프로듀서 야부키 토시로와 음악적 방향성에 차이를 느끼기 시작했다.[60] 결국 2001년, 야부키와의 결별 후 독립하여 본격적인 셀프 프로듀싱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60] 콘셉트 미니앨범 〈Angel's Voice〉는 하야시다 켄지의 프로듀스를 통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60], 이시다 요코에게 〈power of love〉라는 곡을 제공하며 음악 프로듀서로서의 활동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60]2003년에는 동료 아티스트들과 함께 결성한 슈퍼그룹 JAM Project에 정식 멤버로 합류했으며[50], 같은 해 요네쿠라 치히로와 함께 유닛 〈r.o.r/s〉(Reflections of Renaissance/Sounds)를 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50] 솔로 활동 외에도 다양한 협업을 통해 음악적 스펙트럼을 확장해 나갔다.
2004년에는 킹 레코드에서 독립하여 자신의 레코드 레이블인 〈evolution〉을 설립하고 프로듀서로서의 활동을 본격화했다.[61] 같은 해 시작한 라디오 프로그램 《오쿠이 마사미 O-Live》에서는 애니메이션 음악 전문 모바일 사이트인 애니멜로믹스와 공동으로 신인 가수 오디션을 개최하였고, 이 오디션을 통해 발굴된 오미 치에의 데뷔 및 프로듀싱을 담당했다.[62][63][59]
2005년부터는 매년 여름 개최되는 대규모 애니메이션 음악 콘서트인 Animelo Summer Live에 주요 출연진으로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59] 또한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TV 음악 정보 프로그램 《@Tunes.》의 사회를 맡아 진행하며 여러 애니송 아티스트들과 교류했다. 2008년 10월과 2012년에는 JAM Project 멤버로서 멕시코에서 열린 'Expo TNT' 행사에 참여하여 해외 팬들과 만나기도 했다.
2011년에는 레이블 'evolution'의 운영을 종료하고 제네온 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를 떠나 란티스와 계약을 맺었다.
2023년 3월 12일, 데뷔 30주년을 기념하는 라이브 콘서트 『오쿠이 마사미 30th Anniversary Live 2023 EVE 〜하룻밤 한정의 Birth Live』를 개최하였으며, 같은 날 킹 레코드 재적 시절 발표했던 초기 앨범들을 주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공개하며 팬들에게 특별한 선물을 선사했다.[65]
3. 인물
1989년부터 사이토 유키, 하라다 토모요, Wink 등의 백 코러스를 맡으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부터 1995년까지는 마츠토야 유미의 투어에서 코러스 및 백 댄서로 활동했으며, 이 시기 타카하시 요코 등과 함께 일했다. 그 사이 1993년 싱글 〈누구보다도 쭉…〉으로 솔로 데뷔를 했으나, 본인은 훗날 이를 아르바이트 감각으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주로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부르며 애니송 가수로 인지도를 높였고, 다른 가수에게 곡을 제공하거나 잡지에 에세이를 연재하는 등 활동 영역을 넓혀나갔다.
2000년에는 TOTO의 스티브 루카서나 미스터 빅의 빌리 시언 같은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과 협업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시기부터 당시 담당 프로듀서였던 야부키 토시로와 음악적 방향성에 차이를 느끼기 시작했고, 결국 2001년 야부키와 결별하고 본격적으로 셀프 프로듀스를 시작했다. 콘셉트 미니앨범 〈Angel's Voice〉는 하야시다 켄지의 프로듀싱 아래 기존과는 다른 스타일로 완성되어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이시다 요코에게 〈power of love〉를 제공하는 등 음악 프로듀서로서의 활동도 점차 늘려갔다. 현재는 JAM Project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요네쿠라 치히로와 함께 유닛 〈r.o.r/s〉를 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2004년에는 자신이 대표를 맡는 레코드 레이블 〈evolution〉을 설립하여 프로듀서 활동을 본격화했다. 같은 해 시작한 라이브 공연 '오쿠이 마사미 O-Live'에서는 애니메이션 전문 휴대폰 벨소리 사이트인 〈애니멜로믹스〉와 공동으로 “신인가수 오디션”을 개최했으며, 이 오디션에서 오미 토모에가 우승하여 데뷔했다. 최근에는 음악 정보 프로그램 〈@Tunes.〉의 사회를 맡는 등 활동 범위를 더욱 넓히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레이지, 마츠토야 유미, 타케우치 마리야의 영향을 받았다.[58] 특히 카게야마 히로노부 등이 이끄는 밴드 레이지의 팬[68]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밴드로 레이지를 꼽았다. 중학생 시절에는 레이지와 함께 공연하고 싶다는 생각에 아이돌을 목표로 삼기도 했다고 밝혔다.[69] 2009년 9월 27일 열린 라이브 이벤트 "란티스 축제"에서 레이지와 처음으로 함께 공연('느껴봐 Knight'의 코러스)하게 되었을 때, 무대에 오르는 순간 감격하여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70]
마츠토야 유미의 투어 코러스로 참여하게 된 계기에 대해서는, 먼저 참여하고 있던 타카하시 요코의 도움으로 코러스 안무를 배우고 연습한 후 오디션에 임했는데, 오디션 규정상 신장 기준에 미달했음에도 불구하고 합격했다는 일화가 있다.[69][71]
하야시바라 메구미와는 듀엣곡 "Get along"을 함께 부른 이후 친분을 이어오고 있으며, 킹 레코드 소속 당시에는 서로의 라디오 프로그램(방송 시간대가 연속됨)에 게스트로 출연하며 홍보를 돕기도 했다. 하지만 사적인 부분까지 깊이 교류하는 관계는 아니며, 서로 친구라고 부르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69]
이상형으로는 만화 『데빌맨』의 주인공 후도 아키라와 같은 남성을 꼽았다.[72] 과거 마이니치 방송의 프로그램 '아마추어 명인회'에 출연하여 명인상을 수상한 경력도 있다.[73]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겠지만 "삶의 방식"으로서 "80세까지 노래하고 싶다"는 포부를 2010년 자신의 블로그에 밝힌 바 있다.[74] 오쿠이는 2006년 라이브 공연에서도 "80세까지" 노래하겠다고 외쳤다.[66]
4. 라이브
오쿠이 마사미는 자신의 생일에 "Birth live"라는 이름으로 라이브를 여는 것을 연례 행사로 하고 있다.[59] 개인 라이브 투어는 1년에 1~2회 개최된다.
2006년의 라이브에서는 수건을 흔들며 응원하는 곡("수건 곡")으로 "Shuffle"을 불렀다.[66] 같은 해 섣달 그믐날에는 Shibuya O-EAST에서 카운트다운 라이브를 열었다.[67]
또한, 오쿠이는 2005년 "The Bridge"부터 2011년 "Rainbow"까지 매년 열리는 Animelo Summer Live 콘서트에 정기적으로 출연했다. 2008년 10월에는 JAM Project의 멤버로서 멕시코로 가서 Expo TNT 16에서 공연했으며, 2012년에도 EXPO TNT GT 6에서 공연했다.
5. 음반 목록
오쿠이 마사미는 솔로 가수로서 다수의 정규 앨범, 베스트 앨범, 커버 앨범, 싱글 등을 발표했다. 또한 JAM Project 멤버로서의 활동 및 다른 아티스트와의 협업 음반도 있다.
솔로 활동 중 발표한 라이브 앨범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발매일 | 타이틀 | 규격번호 | 발매 레이블 |
---|---|---|---|---|
Live | 1999년 6월 4일 | BEST-EST | KICS-723/4 | 스타 차일드 |
Live | 2000년 11월 22일 | Li-Book 2000 | KICS-831 |
자세한 음반 목록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정규 앨범
- 베스트 앨범
- 커버 앨범
- 싱글
- 참여 싱글
- 콜라보레이션
- 제공
5. 1. 정규 앨범
EVCA-0004 (통상반)EVCA-0011 (통상반)
LACA-15215 (통상반)